개인정보 보안
개인정보 보안
개인정보란? 개인정보 보호법 과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 보안 등에 관한
법률로 살아있는 개인에 관한 정보로 성명, 주민등록번호 및 영상 등을
통하여 개인을 알아볼 수 있는 정보다. (해당 정보만으로는 특정 개인을 알아볼
수 없더라도 다른 정보와 쉽게 결합하여, 알아볼 수 있는 것을 포함한다)
개인정보의 중요성은 유출될 경우 개인의 안전과 재산에 큰 피해를 줄수 있으며
매일 수신되는 스팸문자 / 보이스 피싱 / 나를 사칭한 메신서 상의 금융사기
등이 모두 개인정보 유출과 관련 될 수 있으며, 사망한 개인에 관한 정보는
적용 대상에서 제외 된다. 사망자 유족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정보는 사망자의
정보인 동시에 관계되는 유저계정이 보이기도 하기 때문에 유족이 생존하는
경우에는 생존하는 개인에 관한 정보로 법의 적용 대상이 된다.
개인정보의 유형과 예시를 살펴보면 인적사항 : 성명, 주민등록번호, 주소,
전화번호, 생년월일, 출생지, 이메일 주소, 가족관계 및 가족 구성원 정보
신체적 정보 : 신체정보(얼굴,지문,홍채,음성,유전자 정보,키,몸무게 등)
정신적 정보 : 사상,종교,가치관 등
개인신용정보 : 금융거래정보 등(카드번호, 계좌번호, 대출,저축내역,부동산
보유내역,신용평가정보 등)
사회적 정보 : 교육정보(학력,성적,자격증 보유 내역 등), 법적정보(전과,
범죄기록,과태료 납부 내역등), 근로정보(직장, 상벌기록등)
기타 : 전화통화 내역, 웹사이트 접속 내역, 이메일 또는 전화메시지,
GPS등에 의한 위치 정보 등 이 있다.
데이터 브로커라 불리우는 정보 브로커(information broker)가 있는데
이들은 정보를 재판매하는 자들이고 빅데이터를 통해 데이터를 수집한다.
데이터 브로커 회사로는 ACXIOM : 소셜 미디어, 부동산 거래, 금융거래,
인터넷 사이트를 이용해 사람들의 정보를 수집함
imshealth : 병원의 처방 정보를 수집함
이런 회사들이 있으며, 디지털포렌식 방식을 이용하여 PC나 노트북,
휴대폰 등 각종 저장매체 또는 인터넷 상에 남아 있는 각종 디지털
정보를 분석해 범죄 단서를 차즌 수사기법을 이용하기도 한다.
데이터 브로커들과 개인정보에 대해 살펴보면 방송통신위원회는
2016년 빅데이터, 사물 인터넷, 클라우드 등 IT 핵심 산업 분야 활성화
를 위해 개인정보는 자유롭게 활용할 수 있다 발표하였다. 빅데이터 활용이
하나의 산업군으로 연결되고 있어 새로운 경제의 성장 동력으로 자리매김
하고 있다고 발표하였으며, 이는 BANK of AMERICA 은행에서 SNS등을
통한 마케팅을 통해 고객을 유치하였으며 수익률을 제고하였고
PROGRESSIVE 보험회사에서는 자동차 운행 기록 정보를 통해 보험
재가입여부를 결정하고 있으며, 메트로마일(MetroMile)에서는 날씨
데이터에 기반을 두고 농작물 보험을 판해하고 있는중이다.
개인정보 유출에 대한 예방과 피해구제로는 신용평가사들이 있으며
이들이 소속한 단체는 NICE평가정보의 마이크레딧 , SCI(서울신용
평가정보)의 사이렌24 , KCB (코리아크레딧뷰로)의 올크레딧
주민번호 클린센터(clean.kisa.or.kr)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