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버 범죄
사이버 범죄 사이버 범죄인 고객정보 해킹의 경우 발생건수 기준 지난 5년간 매년 13.2%씩 증가 했다. 미국 정부에서 발표한 통계자료에 따르면 사이버 범죄의 피해액은 최근 10년간 매년 19.3%씩 증가했다. ('05년 2억달러 -> '15년 10억 7000만, 5배) 최근 5년간 해킹 등 사이버 테러를 당한 대한민국 정부부처 및 주요기관은 다음과 같다. (청와대, 국가정보원, 국무조정실, 금융기관, 언론사, 한국수력원자력) 2016년 정부부처를 상대로 해킹 시도는 2만건에 달하며, 유형은 인터넷망을 통한 정보수집 시도, 악성코드 감염, 디도스(DDoS) 공격, 네트워크 침입탐지 등 대표적인 예로는 6개 방송, 금융사 전산장비 파괴는 물론 전 국민을 대상으로 악성코드가 유포돼었고, 서버, 개인용 컴퓨터..
2023. 5. 15.
사이버 테러
사이버 테러 테러는 테러리즘 폭력 활동에서 공간적 제약이 주는 결정적인 조건하에 이루어진다. 폭력적 타격의 수행자와 대상자는 공간적 위치에 존재하여야 하며 이둘이 같은 공간과 시간에 만나야만 테러리즘이라는 결과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테러란 특정단체(정치, 사회, 종교)에서 목적을 가지고 행하는 폭력 또는 협박인데 이를 통해 특정 개인, 단체, 공동체 사회, 그리고 정부의 인식 변화와 정책의 변화를 유도하는 상징적, 심리적 폭력행위의 총칭이다. 사이버 테러란, 해킹과 바이러스 제작과 유포 등 대규모 피해를 야기시키는 사이버 공간에서의 범죄이다. 사이버 테러리즘의 수단으로는 해킹, 전자우편 대량발송, 서비스 거부, 논리폭탁, 트로이 목마, 웜 바이러스, 고출력 전자총 등이 있다. 사이버 테러리즘에 대해 자세히..
2023. 5.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