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16

사이버 범죄 사이버 범죄 사이버 범죄인 고객정보 해킹의 경우 발생건수 기준 지난 5년간 매년 13.2%씩 증가 했다. 미국 정부에서 발표한 통계자료에 따르면 사이버 범죄의 피해액은 최근 10년간 매년 19.3%씩 증가했다. ('05년 2억달러 -> '15년 10억 7000만, 5배) 최근 5년간 해킹 등 사이버 테러를 당한 대한민국 정부부처 및 주요기관은 다음과 같다. (청와대, 국가정보원, 국무조정실, 금융기관, 언론사, 한국수력원자력) 2016년 정부부처를 상대로 해킹 시도는 2만건에 달하며, 유형은 인터넷망을 통한 정보수집 시도, 악성코드 감염, 디도스(DDoS) 공격, 네트워크 침입탐지 등 대표적인 예로는 6개 방송, 금융사 전산장비 파괴는 물론 전 국민을 대상으로 악성코드가 유포돼었고, 서버, 개인용 컴퓨터.. 2023. 5. 15.
테러집단에 의한 인터넷 사용 테러집단에 의한 인터넷 사용 테러집단은 1단계 해킹(내부침입) 기업 피시관리시스템(M사)취약점 이용 2단계 정보수집(내부망 해킹) 악성코드(Ghost RAT 등 33종)로 각종피시 및 서버 침투 3단계자료탈취(사이버테러준비) 북으로 자료 탈취 및 사이버 테러 준비 4단계 파괴(전산마비) 사회혼란 및 경제적 피해단계로 테러를 일으키고 있다. 국제 연합 마약범죄 사무소(United Nations Office on Drugs and Crime:UNODC)는 테러리스트의 인터넷 유형에 대해 다음과 같이 명시하고 있다. 인력 채용(recruitment) 비밀통신(secret communication) 선동(incitement) 공공에 이용 가능한 정보(publicly available information) 극단.. 2023. 5. 13.
사이버 테러 사이버 테러 테러는 테러리즘 폭력 활동에서 공간적 제약이 주는 결정적인 조건하에 이루어진다. 폭력적 타격의 수행자와 대상자는 공간적 위치에 존재하여야 하며 이둘이 같은 공간과 시간에 만나야만 테러리즘이라는 결과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테러란 특정단체(정치, 사회, 종교)에서 목적을 가지고 행하는 폭력 또는 협박인데 이를 통해 특정 개인, 단체, 공동체 사회, 그리고 정부의 인식 변화와 정책의 변화를 유도하는 상징적, 심리적 폭력행위의 총칭이다. 사이버 테러란, 해킹과 바이러스 제작과 유포 등 대규모 피해를 야기시키는 사이버 공간에서의 범죄이다. 사이버 테러리즘의 수단으로는 해킹, 전자우편 대량발송, 서비스 거부, 논리폭탁, 트로이 목마, 웜 바이러스, 고출력 전자총 등이 있다. 사이버 테러리즘에 대해 자세히.. 2023. 5. 13.
해커(보안전문가)의 사례들 해커(보안전문가)의 사례들 해커들은 사람들에게서 나쁜 이미지만 있지만 꼭 그렇지만도 않은게 다음과 같은 성공사례를 보면 알수가 있다. 먼저 리차드 스톨만 (Richard Stallman)은 자유 소프트 웨어 재단 을 창립해 저작권(Copyright) 에 반대 개념의 용어인 카피레프트(Copyleft)를 내새워 지식과 정보는 소수가 독점하는게 아닌 모두에게 공개해야 한다고 주장했으며 1990년에 MacArther Fellowship에서 천재상을 수상했으며 1999년에는 유리 루빈스키 기념상을 수상하기 까지 했다. 그리고 우리 모두가 아는 스티브 잡스 (Steve Jobs)는 1971년 AT&T 전화망을 해킹하였고 해킹 방식은 '블루박스' 라는 장치로 공짜로 전화를 걸수있는 장치를 제작하였다. 1976년에는.. 2023. 5. 13.